2008년 12월 30일 화요일

2008년 12월 25일 목요일

불경(불교)의 변천사 - 작자 미상

불경(불교)의 변천사 - 작자미상


불경(불교)은 역사의 흐름에서 크게 자유롭지 못했다.
부처님 재세시는 기록문화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분의 말씀이 제대로 전해지기가 어려웠고 부처님 사후 불교가 전해지는 과정에서도 안팎의 문제에 부딪히고 있었다.
외부적 문제는 인도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고래의 힌두적 사고방식이었으며 내부적 문제는 부처님의 한치도 빈틈없는 완전한 진리에서 해방되고자 하는 제자들의 일탈성이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부처님 사후 제자들이 법을 전하는 과정에서 힌두적 사고에 젖은 인도인들을 설득하고자 그들의 배경과 지식을 활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 불법 속에 자연스레 힌두적 관념과 논리가 스며들게 되었다.

경전에 자주 나타나는 일이지만 부처님 재세시에도 법을 거역하는 제자들이 자주 나와 법을 훼손하는 일이 있었고 외도들과의 충돌도 계속되고 있었다.
그래서 부처님이 돌아가셨을 때(BC 485년) 대부분의 수행자들은 비탄에 빠졌으나 일부 습이 많은 제자들의 마음 속에는 옴짝달싹 조차 할 수 없었던 절대적 진리와 권위로부터 해방되었다는 일탈심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래서 스바닷다라는 제자는 부처님이 돌아가시자 비탄에 빠진 수행자들을 향해 ‘조금도 슬퍼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우리들은 드디어 이것을 하라! 저것을 하라고 하는 세존의 잔소리에서 해방되었다.
이제는 우리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지 않은가!’하고 소리쳤던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수제자인 마하가섭은 이대로 두었다가는 교단이 뿔뿔이 흩어질 것이고 자기가 알고 있는 것만이 부처님의 정법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로 인해 부처님의 가르침이 크게 왜곡될 것을 우려했다.



1차결집
그래서 수행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부처님의 가르침을 확인하고 정리하는 경전정리 작업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제1회 불전결집이었다.
그러나 이때는 문자문화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경전은 단순히 구전으로 암송되었을 뿐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다.
이 회의는 수제자인 마하가섭이 회의를 소집하고 사회를 보았으며, 우팔리가 지켜야할 계율(律)을, 아난다가 부처님의 가르침인 경(經)을 암송하면 참석했던 모든 제자들이 그 내용이 맞음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여 경으로 확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정립된 율과 경의 내용이 입을 통해 계속 전승되다가 200년 뒤에 3차 팔리어 대결집의 모태가 된다.



2차결집
2차 결집은 부처님 사후 약 100년 경에 있었는데 이 시기는 불교가 중인도의 테두리를 넘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으로 입에서 입으로 가르침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지역적 상황에 따라 초기의 엄격했던 계율이 조금씩 변질되고 있었다.

그래서 기존의 엄격한 교단과 새로운 지역의 개척교단 사이에 변질된 계율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는데 10가지 쟁점이 있었다.
그 주요한 내용으로, 수행자가 (정오가 지나면 식사해서는 안되는데)정오를 지나 식사를 하는 문제, (나무나 그 열매의 즙을 발효시켜 아직 알콜이 되지 않은) 음료를 마시는 문제, 금,은 등을 보시받는 문제 등이었다.

이런 일들이 당시 불교계에 논란이 되자 각지의 수행자 700여명이 바이샬리 거리에 모여 논쟁을 하여 기존 계율을 정리하게 되었는데 계율을 융통성있게 해석하여 예외를 인정하려고 하는 신생 관용파와 끝까지 계율을 엄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보수 비구들간의 논쟁에서 보수파의 주장이 전면적으로 채택되어 10가지 쟁점 모두 법에 맞지 않는 '비사(非事)'로 판정되었다.


부파불교(아비다르마) - 구전경전의 변질
그러나 이때 이 결정에 승복하지 않는 비구들이 모여 새로 대중부라는 파를 만들었는데 이를 '근본분열'이라고 한다.
이렇게 갈라진 교단은 불멸 후 200년(BC 280년) 경에 개혁적인 대중부 속에서 재분열이 일어나고
보수적인 상좌부도 불멸 후 300년(BC 180년) 경 분열이 시작되어 20개 부파로 나뉘게 되는데 이들을 소승 20부라고도 하며 총칭하여 부파불교(아비다르마)라고 부른다.

이들은 각 부파별로 독자적인 이론 전개를 해가며 인도불교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는데 각자 불교를 정밀화, 체계화시키며 인도전역에 불교를 전하게 된다.(그 결정판이 AD 5세기 세친의 구사론임) 그들은 부처님이 사람들을 만나 행한 질문과 답변 속에 관련된 사실과 이치를 모두 집어넣어 완벽한 문장과 체제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왜냐하면 부처님은 완전하신 분이니 조금의 흠도 없는 경전을 만드는 것이 자신들의 사명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초기 경전의 내용이 나열적이며 관념적인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제자들의 치밀한 노력 때문이다.

이와 같이 초기 제자들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완벽한 교리를 부파불교(아비다르마)라고 하는데
한편으로는 너무 현학적이고 번쇄한 교리를 만듦으로써 오히려 진실성이 떨어지고 형식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그래서 현존하는 경장을 보면 잡아함이나 법구경과 같이 원초적이고 간결한 것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아비달마적인 연구가 고조되어 그 내용이 학문적인 논서같은 것도 있다.

이를테면 팔리어 경장 중 '소부(小部, Khuddhaka nik ya)'에 속하는 《닛데사》는 같은 소부에 수록된 《숫타니파타 Suttanip ta》에 비해 매우 아비달마적인 주석이며 《파티삼비다맛가 Pa isa bhid magga》는 실천수행의 덕목을 정리하여 해설한 것인데 때에 따라서는 논장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처럼 부처님의 초기 법음을 그대로 간직했다는 BC 3세기의 팔리어 경전들도 이 정도일진데 북방으로 전래되어 한역 대장경의 원전이 된 AD 2세기 카니시카왕의 산스크리트 경전의 변천은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3차 대결집
BC 4세기 경 마케도니아 알렉산더왕의 북서 인도 침입을 계기로 서북인도에는 마우리아 왕조가 나타났는데 BC 3세기 아소카왕 때 전성기를 맞았다.
아소카 왕은 참혹한 살륙이 벌어지는 전쟁에 회의를 느끼고 스스로 불법에 귀의하여 불교를 국가통치의 기본이념으로 삼았는데 BC 235년 그는 필생의 사업으로 부처님 사후 구전되어 오던 부처님 말씀(經)과 불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律)과 부파불교에서 수백년간 연구되어온 아비달마의 논(論)들을 한자리에 모아 경·율·논 3장(三藏)의 대장경을 편찬하였다.
이것을 바로 불교역사상 가장 위대한 역사라고 불리워지는 3차 대결집이다.



3차대결집의 결과물 팔리어경전
바로 이 경이 남방으로 흘러 들어가 남방 소승경전의 전범인 팔리어경전의 기초가 되는데 이때는 상좌부의 분열이 이루어지지 않고 힌두교가 정식으로 나타나기 전이라 비록 아비다르마 연구로 많이 변질되기는 하였지만 부처님의 비교적 원어가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소카왕 사후 바로 마우리야 왕조는 붕괴되고 안드리아 왕국과 쿠샨왕조 같은 소국들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마우리아 왕조에 대한 반동으로 전통의 복귀를 주장하며 브라만제도의 부활을 시도했다.
그들은 산스크리트 문법을 확립(B.C.2세기)하여 바라문 문화를 대표하고 산스크리트 문화로 중앙문화를 이끌어 나갔으며 정치적으로는 마누 법전을 제작(B.C.1 세기)하여 바라문의 권위를 세웠다.



바라문교에서 힌두교로
특히, 종교적인 면에서의 바라문교는 각 지방에 남아 있던 부족 신앙이나 민속 신앙을 베다 성전에 포괄하고 선진종교인 불교 이론도 흡수하여 오늘날 우리가 힌두교라고 부르는 종교의 원형을 이 시기에 정립했다.



힌두교의 영향으로 대승불교 출현
이러한 힌두교의 정립은 기존 불교계에도 큰 충격을 주어 중부 뿐만 아니라 상좌부도 분열하게 되는데 힌두교 박티신앙의 영향으로 불교 속에도 부처님을 신앙으로 하는 대승불교가 나타나게 된다.

마우리아 왕조가 멸망한 이후 인도북부에 생긴 중앙아시아 계통 쿠샨왕조의 카니시카왕은 예외적으로 불교를 국교로 택하고 AD 125년 경 대대적인 4차 결집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700여년에 걸친 방대한 철학적 사유와 논서를 가진 불교는 당시 위정가들에게 가장 차원높은 고급종교로서 인정받았으며 위정가들도 자신의 통치를 위해 불교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산스크리트어로 편찬된 4차결집 경전
카니슈카왕은 부파불교 내에 여러 파가 있고, 각 부파의 교의가 동일하지 않음을 알고 각 부파의 이설을 통일하고자 경·율·논 3장에 통달한 스님 500명을 선출하여 불전 결집을 간행하였는데, 이것이 '4차 불전결집'이다.

이때는 각 부파의 학문적 논의가 거의 완성된 상황이라 기존 팔리어 삼장에다가 이들이 만들어 놓은 광범위한 주석을 덧붙여 대장경을 편찬했다.
이때 경장주석 10만송, 율장주석 10만송, 논장주석 10만송, 도합 30만송의 대주석을 동판에 새겨 큰 보탑 속에 안치했다고 하는데 그 중 논장의 일부 주석이 현재까지 전해진다.

이때 만들어진 경은 팔리어로 쓰여진 3차 경전과는 다르게 힌두 귀족들이 사용하는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는데 그만큼 브라만적 전통 문화와 힌두교의 영향력이 커졌다는 뜻이며 이 경전들이 북방으로 전해져 한역대장경의 원전이 된다.


중 한 일 불교경전은 4차결집의 산물
따라서 오늘날 동양3국에서 불교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700년간에 걸친 부파불교의 이론이 크게 반영된 카니시카왕의 4차 결집의 산물로서 힌두교의 영향과 각 부파불교의 논리들이 많이 반영된 것이니 초기 부처님의 가르침을 그대로 간직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승성립의 배경
부처님 사후 500년이 지난 기원 전후 경에 부파불교의 현학성과 귀족주의에 반발하면서 대승불교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상좌부의 부파불교는 승원을 중심으로 고도의 철학적이고 난해한 법논리를 전개하면서 소수의 지식인들만이 알 수 있는 고급종교가 되어있었고 승려들은 왕실과 귀족들의 지원아래 중생들과 유리된 엘리트적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

그래서 재가신자들과 개혁적인 승려들은 중생들의 아픔을 외면하고 추상적인 논란만 일삼으며 권력과 유착하여 일신의 안락함만 누리고 있는 기존 승단을 비판하면서 부처님의 본래 정신으로 돌아가 중생들을 구원하는 참된 불교가 되자고 대승운동을 전개했다.



믿기만하면 구원받는 다부처 다보살주의 개발
그래서 그들은 기존 승려들의 편협하고 이기적인 모습을 '소승'이라 공격하고 스스로는 모든 것을 담는 ‘대승’'이라 칭하면서 대중적인 신앙운동을 발전시키고 자신들만의 경전을 편찬하게 된다.

그리고 힌두교에서 유행하고 있는 박티 신앙을 받아들여 부처님을 믿기만 하면 법을 몰라도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아미타불 신앙을 발전시켜 나갔고 나가르주나(용수)는 중관사상을 마련하여 대승불교의 철학적 기초를 마련했다.

이들에 의해 AD 1세기경에는 반야계통의 대승경전이 나타나고 AD 2세기경에 화엄경이, AD 4세기경에 법화경이 나타났는데 박티 신앙의 영향으로 초기 경전에 없던 여러가지 형태의 보살과 부처가 나타나게 된다.

AD 3세기경 인도 불교계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20여 종의 아비달마 승단들이 난립하고 있었고 한편에서는 이에 불만을 품은 혁신적인 불교도들이 나타나 대승경전을 편찬하고 대승불교운동을 전개하는 시대상황이 펼쳐지고 있었다.

그외 불교외적으로는 전통적인 육파철학인 ① 산키아(Smkhya)학파 ② 요가(Yoga)학파 ③ 니야야(Nyya)학파 ④ 바이세시카(Vaisesika)학파 ⑤ 미만사(Mims)학파 ⑥ 베단타(Vedant)학파 등이 하나 둘씩 정비되어가면서 대중적인 힌두교가 서서히 인도사회를 점령하고 있었다.



용수의 공사상 확대해석
이러한 사상계의 혼돈 속에서 공 사상의 대가인 용수가 탄생하여 그 당시 사상계의 흐름을 철학적으로 평정하고 불교를 대승적으로 재해석하게 된다.
용수는 『중론』에서 모든 사물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연기관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성이란 없으며 모든 실체를 공이라고 하였다.

자성이란 것은 인과 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립적인 것이며, 항상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고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고정불변한 실체라고 할 수 있는데 연기법으로 이루어진 세상에선 홀로 존재하는 자성이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이 세상의 본질은 무자성(無自性)이며 공이라고 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최고의 진리(Param rtha, 眞諦, 勝義諦)란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실체로서 인간의 사고 내지 인식작용이 미치지 않는 초월적 상태를 말하는데 이것은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 본질의 세계와 유사하며 세상의 흐름과 무관한 영원한 무루의 실체를 말한다.

이에 비해 덮힌 진리(俗諦, 世俗諦)는 상대적인 진리로 인간적 사유에서 본 법을 이야기하는데 플라톤의 현상의 세계, 동굴의 세계를 의미한다.
진제에 의하면 이 세상의 일체 사물은 생겨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늙고 죽은 것도 모두 거짓된 관념에 불과하다고 한다.
따라서 사물이 생겨나고 멸하며, 인간이 늙어서 죽는 것은 <덮힘>의 결과에 지나지 않으니 이 <덮힘>을 제거하면 불생, 불멸의 무루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용수는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계는 <덮힘>의 세상으로 환영에 불과하니 눈을 뜨기까지 그것은 마음을 괴롭히는 고통의 바다지만 일단 눈을 떠버리면 고통스럽던 꿈은 이슬과 같이 사라지고 영원한 평안과 해탈 속에 머무르게 된다는 것이다.


용수는 이와 같이 <중론>에서 <반야경>에 나타나는 공을 연기설로서 이론적으로 해명함으로써 대승불교의 철학적 위상을 확립하였지만 생생한 깨달음의 실체인 해탈지경을 실체가 없는 관념적인 공으로 바꿔버림으로써 불교를 사실에 관한 법에서 관념이 지배하는 추상적인 법으로 변질시키고 말았다.



불교의 힌두화
즉 부처님의 해탈지경은 업이 사라진 인간의 완성된 마음으로 우주의 실상과 진리를 비추는 살아있는 거울이었지만 관념론자의 사고와 논리에 의해 철학적 사유로만 존재하는 관념적인 공으로 변해 버리고 만 것이다.
이렇게 대승불교에서 일체를 부정하고 우주의 실체가 공하다는 결론을 내리자 불교는 힌두교와 차이가 거의 없게 된다.

처음부터 브라만적 환경 속에서 생겨나 자라온 불교였고 힌두교와 더불어 교리의 변천이 이루어졌으며 결국 힌두교 속으로 함몰되어버린 불교의 역사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부처님의 사실적인 가르침은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리변천을 거치면서 마침내 힌두교화 되어 버리고 만 것이다.
이것이 후일 힌두교에서 불교를 자파의 일종으로 무리없이 수용하는 계기가 된다.



불교의 밀교화
마지막으로 불교는 밀교로 변하면서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
그리고 그 동안 깊이 생각해보지 못한 일이지만 오늘날 우리가 불교라고 생각해 오던 많은 부분이 밀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제를 지내고 염불을 하고 다라니를 외우며 불상과 탑에 복을 비는 것 대부분이 밀교적 행태이다.

우리나라에 밀교가 성행한 이유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시기가 삼국시대(AD4세기∼8세기)로
오랜 역사(BC 5세기부터 AD 7세기)를 지닌 인도의 다양한 불교(초기불교, 아비달마 불교, 중관불교, 유식불교, 밀교)가 동시에 밀려들면서 부처님을 신과 같이 생각하고 복을 비는 밀교가 원시신앙을 지닌 우리나라에서 가장 받아들이기 적합했기 때문이다.

삼국의 불교가 왕즉불 사상에 의한 호국불교였으며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 왕건이 불교를 국교로 삼고 팔관회를 개최한 것이라든지, 몽고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하여 수십년에 걸쳐 팔만대장경을 완성한 것 등도 모두 밀교적 신앙의 발로였으며 당시 궁중의식들과 법회의식들도 모두 밀교식 의례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선종에 스며든 밀교
그러던 것이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폐불정책으로 많은 불교종파가 선교 양종으로 통폐합되면서 밀교종인 신인종도 중도종(삼론법성종)에 합쳐지고 다시 총남종이 되었다가 결국 선종에 통합되어 사라져 버린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밀교종파는 사라졌지만 불교 속에 녹아든 밀교의 형식과 관념은 계속되고 있으며 밀교의식과 기복신앙, 기도, 주문(다라니) 등이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밀교로 인한 불교의 소멸 과정
그럼 인도에서 불교가 밀교화하여 소멸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처음 부처님은 인도사회의 미신적이고 관념적인 브라만제도의 어둠을 깨고 이 세상이 완전한 법계와 진리로 이루어져 있음을 선언하셨다.
그래서 우주의 실상과 이치에 맞지 않는 주문이나 비밀의식에 대해 말법으로 금지했으며 기도니 주술이니 하는 기이한 원력으로 재난에서 벗어나려는 일체의 미신적인 수단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를 위반하는 자는 지옥에 떨어지는 과(파일제)를 받는다고 하셨으며 남방 팔리어 경전 소품에는 세속의 밀법들을 『축생의 학』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정법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일이 밀교의 성립과 더불어 불교의 정식 교리가 되었으니 그 말법성을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이것이야말로 정법이 500년 밖에 가지 않는다는 말을 잘 증거해 준다 하겠다.

대승불교가 성하던 7세기 중반 인도에서는 힌두적 관념에 물든 불교도들이 주술적 방법을 통하여 범아일여의 경지를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인도적 주술과 신에 대한 숭배사상이 불교 속에 들어오게 되는데 이렇게 변질된 불교를 밀교라고 한다.

이들은 신을 숭배하고 주문과 의식을 통하여 초월적인 존재와 합일함으로써 해탈을 추구하려 했는데 이러한 입장은 결국 우주관과 깨달음이라는 측면에서 불교와 힌두교의 차이를 사라지게 함으로써 브라만적 관념에 젖은 인도인들에게 불교를 쉽게 받아들이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불교의 진리성을 모호하게 만듦으로써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지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똑같은 이슬람의 침략을 당했는데 힌두교는 살아남고 불교는 소멸한 이유는 불교의 정체성 상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밀교의 산물인 염불과 제불보살 신앙
초기밀교는 4세기로부터 6세기에 걸쳐 성립한 불교로 잡밀(雜密)이라고 하는데 병을 치료하고 장수를 기원하며 비를 멈추게 하는 것 등 중생들의 현실적인 요구에 응하기 위해 나타난 변형불교로서 다라니경과 제불보살을 신앙하는 일군의 밀교경전 등이 이 시대의 산물이다.

밀교가 일어날 당시 대승불교가 성하였지만 이들은 비록 겉으로는 중생구제의 기치를 내걸었지만
그래도 고도의 철학적 사유로 인하여 대중들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종교였다.
그래서 무지한 중생들에게는 고통스런 삶의 현장에서 쉽게 몸과 마음을 달랠 수 있는 주술과 신앙이 더 인기가 있어서 밀교가 성행하게 된 것이다.

중기밀교란 7세기경 인도에서 새롭게 성립한 『대일경』과 『금강정경』등을 기초로 체계적으로 정립된 밀교로서 초기의 조잡한 잡밀에 비추어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었다 하여 순밀(順密)이라고 한다.
『대일경』에는 결인법, 진언의 염송법 및 3종의 만다라 묘사법 등 밀교의 삼밀행에 관한 중요한 내용이 망라되어 있으며 밀교의 실천체계인 호마법, 공양법, 관정법 등이 설해져 있다.

대일경은 중생에게 본래 갖추어 있다는 순수한 본성(보리심)을 나타내는 태장계만다라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강정경』은 대일경을 보다 체계화되고 세밀하게 발전시킨 것으로서 법의 성품을 금강성이라 하여 금강계만다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성적 열락과도 결부시키고 있다.

이들은 만다라(법도), 무드라(수인), 만트라(주문)라는 형식을 통하여 깨달음과 법계, 불 보살의 세계를 복잡하게 조합하여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관념화는 그 교의나 의례, 존상에 있어서 기존 대승불교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후기밀교란 8세기 인도에서 성립한 탄트리즘의 전개와 함께 성립한 밀교로서 속칭 ‘탄트라 불교’라고 부르는 것으로 금강정경을 기초로 한다.
이 단계의 밀교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지 않았던 성적행법을 대담하게 도입하여 좌도밀교라는 이름으로 전해진다.
좌도밀교는 여성과의 성적 의례를 근간으로 하지만, 본질에 있어서는 여성의 기능을 우주적 요소로 파악한 인도 본래의 관념과, 성적 의례를 통해 느끼는 환희가 깨달음의 경지와 유사하다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이렇게 성적행위를 도입한 금강승을 타락한 불교로 보는 견해가 생겨나게 되었으므로 대일경의 진언승과 구별하기 위하여 진언승을 우도밀교, 금강승을 좌도밀교라고 한 것이다.
금강성에 기반을 둔 좌도밀교는 처음부터 감각적인 쾌락을 추구한 것은 아니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일반인으로부터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켰으며 현실적으로도 문제가 많았다.
그리하여 밀교는 도덕적 타락으로 말미암아 인도 지식인들의 비난을 받았고 그 특징도 힌두교와 다를 바가 없었으므로 13세기초 힌두교의 압박과 이슬람교의 공격을 받자 인도에서 소멸하고 말았던 것이다.



밀교의 특징 - 비밀의식
밀교는 힌두교의 영향아래 여러 가지 주술과 의례를 중시했는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비밀의식이 호마법(護摩法) 이다.
호마는 제를 지낼 때 불을 피우고, 그 속에 공물을 태우는 의식으로 베다 이래로 전통적인 브라만교 주술의식이었는데 힌두교에서 이어받은 것을 다시 밀교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밀교의 특징 - 주문
그러나 이 보다 더 중요한 밀교의 핵심은 주문에 있다.
주문은 정신을 통일하고 삼매에 드는 수단으로서 요가행법에서 널리 사용된 것인데 불법이 약해짐에 따라 이를 조금씩 받아들이기 시작하다가 밀교에서 주된 교리가 되었다.

그래서 밀교에서는 진언을 외우면 우주의 신비한 힘을 받게 되어 인간의 힘이 무한자재에 이르게 되는데, 일념으로 "옴 마니 반메훔"을 외우면 마음만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육신까지도 금강소복괴산불이 된다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 불교의식 때 진언이나 다라니를 외우는 것은 이런 밀교의 영향인데 천수경의 여러 진언들과 반야심경의 주문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진언은 mantra의 의역으로 본래는 베다의 주문을 일컫던 말로서 보통 내용이 긴 것을 다라니, 짧은 것을 진언이라고 하며 범어를 원문 그대로 외운다.

그러나 주문을 외우기 전에 먼저 주문의 이치를 알아야 한다.
부처님이 주문에 대해 말씀하지 않은 것은 그 속에 사실적인 인과의 이치가 없기 때문이었다.
주문으로 하는 일이 좋아질 것 같으면 씨만 뿌려 놓고 가만히 앉아서 주문만 외우면 풍년이 들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에는 그런 일이 없기 때문에 이런 일은 비법이며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좋은 말로 다라니를 정당화시켜도 그것은 이치에 없는 일이기 때문에 결실이 없는 것이며 이에 의지하게 되면 삶이 어두워지고 불행하게 되는 것이다.
단순히 그럴 것이라는 생각만 가지고 온갖 논리를 만들어 사람들을 환상에 빠뜨리고 무익하게 만드는 것이 말법의 공통된 특징인 것이다.



밀교의 특징 - 붓다의 신격화
세 번째 밀교의 특징은 신앙적 요소이다.
부처님의 법이 다른 종교와 다른 점은 진리를 강조하고 신을 중시하지 않는데 있다.
왜냐면 완전한 신(조물주)은 완전한 이치를 통해 지은대로 주시기 때문에 각 사람이 주체적 입장에서 좋은 원인을 짓는 것을 가장 중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교는 자등명(自燈明)과 법등명(法燈明)이라고 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스스로 밝은 생활을 실천하는 가운데 자신을 완성시켜 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초기 불교는 신을 중시하지 않았으며 의례나 예배의 대상도 존재하지 않았다.

부처님조차 예배의 대상이 아니었다.
오직 자신에 의지하여 진리를 깨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부처님의 정법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불교가 힌두화되고 밀교화로 변질되면서 대승불교에 와서는 붓다가 중생 구원을 위한 신의 화신으로 변하게 됨으로서 불교가 실천의 종교에서 믿음의 종교로 변하게 된다.

즉 힌두적인 인도에서 자리잡기 위해서 불교는 인도민중의 토속적인 신앙과 기복적인 욕구에 영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고 결국 민중들에게 호소력이 있는 힌두신들을 받아들여 퇴락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불교에서 받아들인 힌두교의 잡신들
이때 불교에 들어온 힌두신으로는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 등이 있다.
제석천은 베다에서는 일체의 악마를 정복하는 천둥벼락의 신이었으며, 우파니샤드 시대에 와서는 악마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모든 신을 주재하는 인드라(Indra) 신이 된다.
범천(梵天, Brahman)은 브라만교에서 만유의 근원인 브라흐만을 신격화한 우주의 창조신인데 불교에서는 제석천과 함께 불법수호의 역할을 맡게 된다.

그 이외에 절에서 많이 보는 사천왕은 원래 힌두교의 신화에서는 호법신이었는데 동방을 수호하는 지국천은 힌두신인 드리따라쉬뜨라, 남방을 수호하는 증장천은 비루다까, 서방을 수호하는 광목천은 비루빡샤, 북방을 수호하는 다문천은 바이슈라바나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금강역사(Vajradhara)는 원래 인도에서 문을 지키는 야차인데 불교에서는 이를 인왕(仁王)이라 하여 불법을 지키는 신으로 받아들였다.
팔부중도 불법을 수호하는 8가지 신으로서 원래는 고대 인도의 악마나 귀신이지만 붓다에게 교화되어 10대 제자와 함께 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관세음보살 신앙의 대두
그리고 본격적인 밀교 시대(7∼8 세기)에 이르게 되면 여러 관음 신앙이 나타나는데 예배형식이 확립되면서 이들에 대한 신앙과 가피력이 대중성을 띠어 보편화된다.
특히 관음신앙은 북서 인도로부터 중앙아시아와 중국 등지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 지역의 토착신앙을 흡수하여 더욱 발전하게 된다.

관세음보살은 범어로 아와록까떼쉬와라로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보문시현(普門示現)이라 하고, 나타나는 모습이나 형태에 따라 천수(千手), 십일면(十一面), 여의륜(如意輪), 준제(准提), 마두(馬頭) 등의 이름을 가진다.
천수관음은 천 개의 눈을 가졌다는 인드라 신이나 비슈누, 쉬바 같은 힌두신들의 특성이 불교적으로 변용된 것이다.

그외 지장보살은 크시티가르바(Ksitigarbha), 미륵보살은 메이뜨레야(Maitreya), 문수보살은 만주슈리, 보현보살은 사만타바드라(Samanthabhadra), 일광보살은 수르야쁘라바, 월광보살은 짠드라쁘라바(Candra-prabha), 십일면관음은 에까다샤무카 라는 힌두신의 어원을 가지고 있다.


힌두교에 흡수된 불교
그 중 가장 주목해야 될 사건은 굽따 왕조 후기(AD 500년경)에 힌두교 내에서 붓다가 비슈누 신의 아홉 번째 화신으로 수용된 것이다.
이는 힌두사회가 불교를 자신들의 울타리 안에 편입시킨 좋은 사례로서 불교가 힌두교에 흡수되어 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현재 인도사람들은 비슈누 신과 붓다, 그리고 쉬바 신이나 관음보살과의 차이점을 거의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로 불교는 힌두교와 유사하게 됨으로써 힌두교의 한 종파로 정착하여 인도사회에서 안정된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진리로서의 생명력을 상실하고 인도사회에서 소멸하고 말았던 것이다.



종교인의 자세
이처럼 오늘날 종교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불교와 기독교 모두 역사적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왔으며 성자들의 원 가르침과는 크게 달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자들은 기존에 전해져 내려오던 사고와 관념의 허황됨을 깨닫고 사실에 근거하여 바른 이치대로 살아갈 것을 인간에게 요구했다.


그러나 오늘날 불교와 기독교는 성자들이 버려야 할 것으로 가르친 힌두교의 관념적인 공사상과 유대교의 맹목적 영적 신앙을 다시 받아들여 다시 사람들을 무기력하고 미신적으로 만들고 있다.
그 결과 현대인은 기존 종교를 통해서는 인간성의 고양을 얻지 못하며 오히려 영적 오염으로 말미암아 영혼의 성장과 내세의 구원을 얻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진실을 밝히고 인간의 참된 삶을 회복해 밝은 세상과 인간완성으로 나아가려는 종교가 오히려 세상을 흐리고 인간성을 왜곡하는 곳이 되었으니 말세의 대표적 징표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참다운 진리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과학과 이성 양심에 따라 노력하는 것이 인간성을 덜 망치고 삶에 충실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인들은 자신들의 종교에 지나친 권위와 절대성을 주장해서는 안될 것이며, 성자들의 진정한 관심이 현상계 인간의 행복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사실에 기준을 두고 좋은 세상을 만드는 참된 진실과 진리를 찾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2008년 12월 18일 목요일

2008년 12월 13일 토요일

강육항




강육항(姜育恒) ♬모음


01  존재의 이유 (중국버젼)
02  오늘같은 밤이면 (중국버젼)
03  사랑을 할꺼야 (중국버젼)
04  님은 먼곳에 (중국버젼)
05  사랑해 당신을 (중국버젼)
06  나그네 설움 (중국버젼)
07  혼자만의 사랑 (중국버젼)
08  그대의 향기속에


슬픈인연 (중국버젼) 
 

2008년 11월 28일 금요일

2008년 11월 27일 목요일

2008년 11월 25일 화요일

2008년 11월 21일 금요일

108 대참회문


2008년 10월 22일 수요일

2008년 10월 17일 금요일

2008년 10월 13일 월요일

2008년 10월 12일 일요일

나는 누구인가?

남과 여

도덕성

언어 습득의 비밀

엽기 세상



















2008년 10월 10일 금요일

2008년 10월 8일 수요일

Fritjof Capra

2008년 10월 7일 화요일

1등석 타는 공기업 임원들
아이들에게 컨닝하라고 시키는 전교조

How I Work - Paul Krugman

HOW I WORK

My formal charge in this essay is to talk about my "life philosophy". Let me make it clear at the outset that I have no intention of following instructions, since I don't know anything special about life in general. I believe it was Schumpeter who claimed to be not only the best economist, but also the best horseman and the best lover in his native Austria. I don't ride horses, and have few illusions on other scores. (I am, however, a pretty good cook).

What I want to talk about in this essay is something more restricted: some thoughts about thinking, and particularly how to go about doing interesting economics. I think that among economists of my generation I can claim to have a fairly distinctive intellectual style -- not necessarily a better style than my colleagues, for there are many ways to be a good economist, but one that has served me well. The essence of that style is a general research strategy that can be summarized in a few rules; I also view my more policy-oriented writing and speaking as ultimately grounded in the same principles. I'll get to my rules for research later in this essay. I think I can best introduce those rules, however, by describing how (it seems to me) I stumbled into the way I work.

ORIGINS

Most young economists today enter the field from the technical end. Originally intending a career in hard science or engineering, they slip down the scale into the most rigorous of the social sciences. The advantages of entering economics from that direction are obvious: one arrives already well trained in mathematics, one finds the concept of formal modeling natural. It is not, however, where I come from. My first love was history; I studied little math, picking up what I needed as I went along.

Nonetheless, I got deeply involved in economics early, working as a research assistant (on world energy markets) to William Nordhaus while still only a junior at Yale. Graduate school followed naturally, and I wrote my first really successful paper -- a theoretical analysis of balance of payments crises -- while still at MIT. I discovered that I was facile with small mathematical models, with a knack for finding simplifying assumptions that made them tractable. Still, when I left graduate school I was, in my own mind at least, somewhat directionless. I was not sure what to work on; I was not even sure whether I really liked research.

I found my intellectual feet quite suddenly, in January 1978. Feeling somewhat lost, I paid a visit to my old advisor Rudi Dornbusch. I described several ideas to him, including a vague notion that the monopolistic competition models I had studied in a short course offered by Bob Solow -- especially the lovely little model of Dixit and Stiglitz --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international trade. Rudi flagged that idea as potentially very interesting indeed; I went home to work on it seriously; and within a few days I realized that I had hold of something that would form the core of my professional life.

What had I found? The point of my trade models was not particularly startling once one thought about it: economies of scale could be an independent cause of international trade, even in the absence of comparative advantage. This was a new insight to me, but had (as I soon discovered) been pointed out many times before by critics of conventional trade theory. The models I worked out left some loose ends hanging; in particular, they typically had many equilibria. Even so, to make the models tractable I had to make obviously unrealistic assumptions. And once I had made those assumptions, the models were trivially simple; writing them up left me no opportunity to display any high-powered technique. So one might have concluded that I was doing nothing very interesting (and that was what some of my colleagues were to tell me over the next few years). Yet what I saw -- and for some reason saw almost immediately -- was that all of these features were virtues, not vices, that they added up to a program that could lead to years of productive research.

I was, of course, only saying something that critics of conventional theory had been saying for decades. Yet my point was not part of the mainstream of international economics. Why? Because it had never been expressed in nice models. The new monopolistic competition models gave me a tool to open cleanly what had previously been regarded as a can of worms. More important, however, I suddenly realized the remarkable extent to which the methodology of economics creates blind spots. We just don't see what we can't formalize. And the biggest blind spot of all has involved increasing returns. So there, right at hand, was my mission: to look at things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and in so doing to reveal the obvious, things that had been right under our noses all the time.

The models I wrote down that winter and spring were incomplete, if one demanded of them that they specify exactly who produced what. And yet they told meaningful stories. It took me a long time to express clearly what I was doing, but eventually I realized that one way to deal with a difficult problem is to change the question -- in particular by shifting levels. A detailed analysis may be extremely nasty, yet an aggregative or systemic description that is far easier may tell you all you need to know.

To get this system or aggregate level description required, of course, accepting the basically silly assumptions of symmetry that underlay the Dixit-Stiglitz and related models. Yet these silly assumptions seemed to let me tell stories that were persuasive, and that could not be told using the hallowed assumptions of the standard competitive model. What I began to realize was that in economics we are always making silly assumptions; it's just that some of them have been made so often that they come to seem natural. And so one should not reject a model as silly until one sees where its assumptions lead.

Finally, the simplicity of the models may have frustrated my lingering urge to show off the technical skills I had so laboriously acquired in graduate school, but was, I soon realized, central to the enterprise. Trade theorists had failed to address the role of increasing returns, not out of empirical conviction, but because they thought it was too hard to model. How much more effective, then, to show that it could be almost childishly simple?

And so, before my 25th birthday, I basically knew what I was going to do with my professional life. I don't know what would have happened if my grand project had met with rejection from other economists -- perhaps I would have turned cranky, perhaps I would have lost faith and abandoned the effort. But in fact all went astonishingly well. In my own mind, the curve of my core research since that January of 1978 has followed a remarkably consistent path. Within a few months, I had written up a basic monopolistic competition trade model -- as it turned out,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with similar models by Avinash Dixit and Victor Norman, on one side, and Kelvin Lancaster, on the other. I had some trouble getting that paper published -- receiving the dismissive rejection by a flagship journal (the QJE) that seems to be the fate of every innovation in economics -- but pressed on. From 1978 to roughly the end of 1984 I focussed virtually all my research energies on the role of increasing returns and imperfect competition in international trade. (I took one year off to work in the US government; but more about that below). What had been a personal quest turned into a movement, as others followed the same path. Above all, Elhanan Helpman -- a deep thinker whose integrity and self-discipline were useful counterparts to my own flakiness and disorganization -- first made crucial contibutions himself, then talked me into collaborative work. Our magnum opus, Market Structure and Foreign Trade, served the purpose of making our ideas not only respectable but almost standard: iconoclasm to orthodoxy in seven years.

For whatever reason, I allowed my grand project on increasing returns to lie fallow for a few years in the 1980s, and turned my attention to international finance. My work in this area consisted primarily of small models inspired by current policy issues; although these models lacked the integrating theme of my trade models, I think that my finance work is to some extent unified by its intellectual style,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my work on trade.

In 1990 I returned to the economics of increasing returns from a new direction. I suddenly realized that the techniques that had allowed us to legitimize the role of increasing returns in trade could also be used to reclaim a whole outcast field: that of economic geography, the location of activity in space. Here, perhaps even more than in trade, was a field full of empirical insights, good stories, and obvious practical importance, lying neglected right under our noses because nobody had seen a good way to formalize it. For me, it was like reliving the best moments of my intellectual childhood. Doing geography is hard work; it requires a lot of hard thinking to make the models look trivial, and I am increasingly finding that I need the computer as an aid not just to data analysis but even to theorizing. Yet it is immensely rewarding. For me, the biggest thrill in theory is the moment when your model tells you something that should have been obvious all along, something that you can immediately relate to what you know about the world, and yet which you didn't really appreciate. Geography still has that thrill.

My work on geography seems, at the time of writing, to be leading me even further afield. In particular, there are obvious affinities between the concepts that arise naturally in geographic models and the language of traditional development economics -- the "high development theory" that flourished in the 1940s and 50s, then collapsed. So I expect that my basic research project will continue to widen in scope.

RULES FOR RESEARCH

In the course of describing my formative moment in 1978, I have already implicitly given my four basic rules for research. Let me now state them explicitly, then explain. Here are the rules:

1. Listen to the Gentiles

2. Question the question

3. Dare to be silly

4. Simplify, simplify

Listen to the Gentiles

What I mean by this rule is "Pay attention to what intelligent people are saying, even if they do not have your customs or speak your analytical language." The point may perhaps best be explained by example. When I began my rethinking of international trade, there was already a sizeable literature criticizing conventional trade theory. Empiricists pointed out that trade took place largely between countries with seemingly similar factor endowments, and that much of this trade involved intra-industry exchanges of seemingly similar products. Acute observers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economies of scale and imperfect competition in actual international markets. Yet all of this intelligent commentary was ignored by mainstream trade theorists -- after all, their critics often seemed to have an imperfect understanding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had no coherent models of their own to offer; so why pay attention to them? The result was that the profession overlooked evidence and stories that were right under its nose.

The same story is repeated in geography. Geographers and regional scientists have amassed a great deal of evidence on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localized external economies, and organized that evidence intelligently if not rigorously. Yet economists have ignored what they had to say, because it comes from people speaking the wrong language.

I do not mean to say that formal economic analysis is worthless, and that anybody's opinion on economic matters is as good as anyone else's. On the contrary! I am a strong believer in the importance of models, which are to our minds what spear-throwers were to stone age arms: they greatly extend the power and range of our insight. In particular, I have no sympathy for those people who criticize the unrealistic simplifications of model-builders, and imagine that they achieve greater sophistication by avoiding stating their assumptions clearly. The point is to realize that economic models are metaphors, not truth. By all means express your thoughts in models, as pretty as possible (more on that below). But always remember that you may have gotten the metaphor wrong, and that someone else with a different metaphor may be seeing something that you are missing.

Question the question

There was a limited literature on external economies and international trade before 1978. It was never, however, very influential, because it seemed terminally messy; even the simplest models became bogged down in a taxonomy of possible outcomes. What has since become clear is that this messiness arose in large part because the modelers were asking their models to do what traditional trade models do, which is to predict a precise pattern of specialization and trade. Yet why ask that particular question? Even in the Heckscher-Ohlin model, the point you want to make is something like "A country tends to export goods whose production is intensive in the factors in which that country is abundant"; if your specific model tells you that capital-abundant country Home exports capital-intensive good X, this is valuable because it sharpens your understanding of that insight, not because you really care about these particular details of a patently oversimplified model.

It turns out that if you don't ask for the kind of detail that you get in the two-sector, two-good classical model, an external economy model needn't be at all messy. As long as you ask "system" questions like how welfare and world income are distributed, it is possible to make very simple and neat models. And it's really these system questions that we are interested in. The focus on excessive detail was, to put it bluntly, a matter of carrying over ingrained prejudices from an overworked model into a domain where they only made life harder.

The same is true in a number of areas in which I have worked. In general, if people in a field have bogged down on questions that seem very hard, it is a good idea to ask whether they are really working on the right questions. Often some other question is not only easier to answer but actually more interesting! (One drawback of this trick is that it often gets people angry. An academic who has spent years on a hard problem is rarely grateful when you suggest that his field can be revived by bypassing it).

Dare to be silly

If you want to publish a paper in economic theory, there is a safe approach: make a conceptually minor but mathematically difficult extension to some familiar model. Because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model are already familiar, people will not regard them as strange; because you have done something technically difficult, you will be respected for your demonstration of firepower. Unfortunately, you will not have added much to human knowledge.

What I found myself doing in the new trade theory was pretty much the opposite. I found myself using assumptions that were unfamiliar, and doing very simple things with them. Doing this requires a lot of self-confidence, because initially people (especially referees) are almost certain not simply to criticize your work but to ridicule it. After all, your assumptions will surely look peculiar: a continuum of goods all with identical production functions, entering symmetrically into utility? Countries of identical economic size, with mirror-image factor endowments? Why, people will ask, should they be interested in a model with such silly assumptions -- especially when there are evidently much smarter young people who demonstrate their quality by solving hard problems?

What seems terribly hard for many economists to accept is that all our models involve silly assumptions. Given what we know about cognitive psychology, utility maximization is a ludicrous concept; equilibrium pretty foolish outside of financial markets; perfect competition a howler for most industries. The reason for making these assumptions is not that they are reasonable but that they seem to help us produce models that are helpful metaphors for things that we think happen in the real world.

Consider the example which some economists seem to think is not simply a useful model but revealed divine truth: the Arrow-Debreu model of perfect competition with utility maximization and complete markets. This is indeed a wonderful model -- not because its assumptions are remotely plausible but because it helps us think more clearly about both the nature of economic efficiency and the prospects for achieving efficiency under a market system. It is actually a piece of inspired, marvellous silliness.

What I believe is that the age of creative silliness is not past. Virtue, as an economic theorist, does not consist in squeezing the last drop of blood out of assumptions that have come to seem natural because they have been used in a few hundred earlier papers. If a new set of assumptions seems to yield a valuable set of insights, then never mind if they seem strange.

Simplify, simplify

The injunction to dare to be silly is not a license to be undisciplined. In fact, doing really innovative theory requires much more intellectual discipline than working in a well-established literature. What is really hard is to stay on course: since the terrain is unfamilar, it is all too easy to find yourself going around in circles. Somewhere or other Keynes wrote that "it is astonishing what foolish things a man thinking alone can come temporarily to believe". And it is also crucial to express your ideas in a way that other people, who have not spent the last few years wrestling with your problems and are not eager to spend the next few years wrestling with your answers, can understand without too much effort.

Fortunately, there is a strategy that does double duty: it both helps you keep control of your own insights, and makes those insights accessible to others. The strategy is: always try to express your ideas in the simplest possible model. The act of stripping down to this minimalist model will force you to get to the essence of what you are trying to say (and will also make obvious to you those situations in which you actually have nothing to say). And this minimalist model will then be easy to explain to other economists as well.

I have used the "minimum necessary model" approach over and over again: using a one-factor, one-industry model to explain the basic role of monopolistic competition in trade; assuming sector-specific labor rather than full Heckscher-Ohlin factor substitution to explain the effects of intraindustry trade; working with symmetric countries to assess the role of reciprocal dumping; and so on. In each case the effect has been to allow me to tackle a subject widely viewed as formidably difficult with what appears, at first sight, to be ridiculous simplicity.

The downside of this strategy is, of course, that many of your colleagues will tend to assume that an insight that can be expressed in a cute little model must be trivial and obvious -- it takes some sophistication to realize that simplicity may be the result of years of hard thinking. I have heard the story that when Joseph Stiglitz was being considered for tenure at Yale, one of his senior colleagues belittled his work, saying that it consisted mostly of little models rather than deep theorems. Another colleague then asked, "But couldn't you say the same about Paul Samuelson"? "Yes, I could", replied Joe's opponent. I have heard the same reaction to my own work. Luckily, there are enough sophisticated economists around that in the end intellectual justice is usually served. And there is a special delight in managing not only to boldly go where no economist has gone before, but to do so in a way that seems after the fact to be almost childs' play.

I have now described my basic rules for research. I have illustrated them with my experience in developing the "new trade theory" and with my more recent extension of that work to economic geography, because these are the core of my work. But I have also done quite a lot of other stuff, which (it seems to me) is also in some sense part of the same enterprise. So in the remainder of this essay I want to talk about this other work, and in particular about how the policy economist and the analytical economist can coexist in the same person.

POLICY-RELEVANT WORK

Most economic theorists keep their hands off current policy issues -- or if they do get involved in policy debates, do so only after the midpoint of their career, as something that follows creative theorizing rather than coexists with it.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that the clarity and singleness of purpose required to do good theory are incompatible with the tolerance for messy issues required to be active in policy discussion. For me, however, it has never worked that way. I have interspersed my academic career with a number of consulting ventures for various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as well as a full year in the US government. I have also written a book, The Age of Diminished Expectations, aimed at a non-technical audience. And I have written a pretty steady stream of papers that are motivated not by the inner logic of my research but by the attempt to make sense of some currently topical policy debate -- e.g., Third World debt relief, target zones for exchange rates, the rise of regional trading blocs. All of this hasn't seemed to hurt my research, and indeed some of my favorite papers have grown out of this policy-oriented work.

Why doesn't policy-relevant work seem to conflict with my "real" research? I think that it's because I have been able to approach policy issues using almost exactly the same method that I use in my more basic work. Paying attention to newspaper reports or the concerns of central bankers and finance ministers is just another form of listening to the Gentiles. Trying to find a useful way of defining their problems is pretty much the same as questioning the question in theory. Confronting supposedly knowledgeable people with an unorthodox view of an issue certainly requires the courage to be silly. And of course, ruthless simplification is worth even more in policy discussion than in theory for its own sake.

So doing policy-relevant economics does not, for me, mean a drastic change in intellectual style. And it has its own payoffs. Let's be honest and admit that these include invitations to fancier conferences and speaking engagements at much higher fees than an academic purist is likely to get. Let's also admit that one of the joys of policy research is the opportunity to shock the bourgeoisie, to point out the hollowness or silliness of official positions. For example, I know that I was not the only international economist to have some fun pointing out the absurdities of the Maastricht Treaty, and was not above some wicked pleasure when the ERM crisis I and others had long predicted actually came to pass in the fall of 1992. The main payoff to policy work, though, is intellectual stimulation. Not all real-world questions are interesting -- I find that almost anything having to do with taxation is better than a sleeping pill -- but every couple of years, if not more ofte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rows up a question that gives rise to exciting research. I have been stimulated to write theory papers by the Plaza and the Louvre, by the Brady Plan, NAFTA, and EMU. All of them are papers that I think could stand on their own, even without the policy context.

There is, of course, always a risk that an economist who gets onto the policy circuit will no longer have enough time for real research. I certainly write an awfully large number of conference papers; I am a very fast writer, but perhaps it is a gift I overuse. Still, I think that the big danger of doing policy research is not so much the drain on your time as the threat to your values. It is easy to be seduced into the belief that direct influence on policy is more important than just writing papers -- I've seen it happen to many colleagues. Once you start down that road, once you begin to think that David Mulford matters more than Bob Solow, or to prefer hobnobbing with the Ruritanian finance minister to talking theory with Avinash Dixit, you are probably lost to research. Pretty soon you'll probably start using "impact" as a verb.

Fortunately, while I love playing around with policy issues, I have never been able to take policy makers very seriously. This lack of seriousness gets me into occasional trouble -- like the time that a gentle parenthetical joke about the French in a conference paper led to an extended diatribe from the French official attending the conference -- and may exclude me from ever holding any important policy position. But that's OK: in the end, I would rather write a few more good papers than hold a position of real power. (Note to the policy world: this doesn't mean that I would necessarily turn down such a position if it were offered!)

REGRETS

There are a lot of things about my life and personality that I regret -- if things have gone astonishingly well for me professionally, they have been by no means as easy or happy elsewhere. But in this essay I only want to talk about professional regrets.

A minor regret is that I have never engaged in really serious empirical work. It's not that I dislike facts or real numbers. Indeed, I find light empirical work in the form of tables, charts, and perhaps a few regressions quite congenial. But the serious business of building and thoroughly analyzing a data set is something I never seem to get around to. I think that this is partly because many of my ideas do not easily lend themselves to standard econometric testing. Mostly, though, it is because I lack the patience and organizational ability. Every year I promise to try to do some real empirical work. Next year I really will!

A more important regret is that while the MIT course evaluations rate me as a pretty good lecturer, I have not yet succeeded in generating a string of really fine students, the kind who reflect glory on their teacher. I can make excuses for this failing -- students often prefer advisers who are more methodical and less intuitive, and I all too often scare students off by demanding that they use less math and more economics. It's also true that I probably seem busy and distracted, and perhaps I am just not imposing enough in person to be inspiring (if I were only a few inches taller ...). Whatever the reasons, I wish I could do better, and intend to try.

All in all, though, I've been very lucky. A lot of that luck has to do with the accidents that led me to stumble onto an intellectual style that has served me extremely well. I've tried, in this essay, to define and explain that style. Is this a life philosophy? Of course not. I'm not even sure that it is an economic research philosophy, since what works for one economist may not work for another. But it's how I do research, and it works for me.

2008년 10월 4일 토요일

David Friedman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B.A., 1965 (Chemistry and Physics)
University of Chicago, M.S., 1967 (Physics), PhD., 1971 (Physics)

Employment
Santa Clara University, Professor of Law, 1995-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John M. Olin Faculty Fellow, 1986- 1993,1994- 1995
Cornell Law School, Visiting Professor, 1993-1994
Tulane University , A. B. Freeman School of Business, Associate Professor, 1983- 1986
UCLA, Dept of Economics, Assistant Professor, 1980-1983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ssistant Professor of Economics, 1976- 1980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Public and Urban Policy, Post Doctoral fellow and Lecturer
1975-1976
Columbia University, Research Associate, Physics, 1971-1973

Joseph Stiglitz

Brief Biography of Joseph E. Stiglitz
Joseph E. Stiglitz was born in Gary, Indiana in 1943.
A graduate of Amherst College,
he received his PHD from MIT in 1967, (23)
became a full professor at Yale in 1970, (26)
and in 1979 was awarded the John Bates Clark Award, (35)
In 2001, he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Jeffrey Sachs

Sachs was born in Detroit, Michigan, in 1954.
He received his B.A., summa cum laude, from Harvard College in 1976, (22)
and his M.A. and Ph.D. from Harvard University in 1978 and 1980 respectively. (24, 26)
He joined the Harvard faculty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1980, (26)
and was promoted to Associate Professor in 1982 (28)
and Full Professor in 1983 (29)

2008년 10월 3일 금요일

Greg Mankiw

N. GREGORY MANKIW
Robert M. Beren Professor of Economics
Harvard University

Personal: Born February 3, 1958, married, 3 children.

Education:
A.B., summa cum laude in economics, Princeton University, 1980. (22)
Ph.D., Department of Economics, M.I.T., 1984. (26)

Employment: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Staff Economist, 1982-1983. (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structor, 1984-1985. (26)
Harvard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of Economics, 1985-1987. (27)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Chairman, 2003-2005.
Harvard University, Professor of Economics, 1987-present. (27)

Joseph Stiglitz

Jeffrey Sachs

Lucas

2008년 10월 2일 목요일

안티 뉴스

2008년 10월 1일 수요일

2008년 9월 29일 월요일

저주받은 풍년
저주받은 풍년

2008년 9월 24일 수요일

음악가 임동창

2008년 9월 21일 일요일

2008년 9월 19일 금요일

paul krugman

2008년 9월 18일 목요일

robert frank

dan ariely

the future of the unternet

David Friedman

Richard Thaler - Behavioral Econ

2008년 9월 15일 월요일

2008년 9월 8일 월요일

우리말 배움터

2008년 9월 7일 일요일

Kevin Lim's Blog

2008년 9월 2일 화요일

Predictably Irrational - Dan Ariely

2008년 8월 30일 토요일

Narrative and learning to teach
Notes on Writing - Dick Langlois

2008년 8월 29일 금요일

부디 성불하시길... - 정진홍

2008년 8월 27일 수요일

My Stroke of Insight

Interview with Berkley Economists
TroPop

2008년 8월 26일 화요일

2008년 8월 25일 월요일

2008년 8월 23일 토요일

2008년 8월 22일 금요일

현대 미술의 세계

2008년 8월 18일 월요일

법문 동영상 모음

아름다운 노년 생활

출처 : www.komericanjournal.com
아름다운 노년생활
행복한 노년에 이르는 길
세속의 지위는 더이상 인생의 목표가 아니다
아름다운 노년생활을 위하여......
아름다운 노년생활을 위한 노인 10 계명
신 노인 10계명
행복한 노후는 자식으로 부터 독립 해야..
돈앞에 서면 나는 왜 작아만 지는가
끝이 좋아야 모든것이 좋다

은퇴 준비
새로운 인생의 출발- 은퇴
진정한 투자 은퇴 계획
노후대책 꼭 알아야할 10가지
돈도 못 벌어 놓고 벌써 읕퇴 라니!
 은퇴 준비는 돈만이 다가 아니다

청춘은 짧고 노후는 길다
 목표를 세워서 은퇴 하라  
준비안된 노후는 외롭고 쓸슬 하다
노후는 얼마나 준비 해야 하나
은퇴를 대비한 투자책
풍요로운 노후는 젊은 시절의 결심에 달렸다
연령별 은퇴계획 Advise
성공 그리고 은퇴
일찍 은퇴 하자
퇴직 하는 이들에게- 읕퇴를 어떻게 받아 들일 것인가
우아하게 늙기위한 준비
여유로운 노후 - 어떻게 만드나
언제 어떻게 은퇴 할것인가
당신의 가계부에 " 미래의 생활비 " 항목을 두라
성공적인 노후생활 - 건강한 노후를 위한 요령들
황금빛 노년을 꿈꾸며
노후생활을 건강 하고 여유있게 하기 위한 마련
돈은 도대체 얼마나 있어야 하나
은퇴후의 성공적인 삶을 위한 조언
파티는 오후에 시작 한다
가장 아까운 나이 젊은 노인들
은퇴준비 평가
은퇴 후의 삶
정년퇴직 후의 정신건강
퇴직을 어떻게 받아 들일 것인가

노년의 향기
노인의 모습에는 편안함이 있어야 합니다.
 젊지 않음의 美學  
소박한 삶에서 삶의 질이 돋보인다
늙어본 이들의 느낌표!
어느 나이나 인생은 살만 하다
존경 받는 노후 생활
노인도 꿈이 있는가
황혼 별곡
행복은 들꽃 처럼
노을에 피는 꽃
노인문화 그것은 봉사이다
봉사하는 삶이아름답다
그래도 세상은 아름답다

노년을 즐겁게
노는것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아무것도 이룬것이 없어도 인생은 즐겁다
돈이 없다고 인생의 즐거움이 없는것은 아닙니다
노후는 여생(餘生)이 아니다
우리 사회에 새로운 노인세대가 탄생하고있다
신세대 노인들의 생활 목표
적극적으로 참여 하라
노인의 용기가 새로운 세상으로 당신을 안내 합니다
정원 손질이나 하며 사는것이 은퇴의 즐거움 일 수는 없다
인생은 지금 부터
당신이 하고싶던일을 하고 살아라
사는 재미에 대하여
60년만의 해방 - 이혼의 즐거움-
老맨스 그레이- 이시대의 로망스
노인도 이성 친구가 좋다
할머니들의 해방구 -황혼 이혼-
혼자서 즐기는 시간도 가져라
노인에게 상실감을 더해주는 노인냄새
노인일 수록 향수를 사용 하라
가장 읽그러진 거울 노인과 性
노인은 여행을 하라
 삶의 질을 높이는 노후여가문화

노인의 여가생활
우리끼리 즐길 테니 너희들이나 잘 살아라
노인의 삶은 놀아도 바빠야 한다
자식에게 재산 물려주고 뒷전에 앉아있지 않는다
새로운 노인 세대가 탄생 하고 있다
사는재미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이혼 파티
덮어 두었던 예술적 재능을 발휘 하라
혼자 즐기는 습관도 기르라
노후생활과 애완 동물
노인들은 개를 기르라
한 교포 자영업자의 인터뷰

노인사회 문제 들에 대하여
인류가 늙어 가고 있다
나이먹고 할일 없는자 만이 노인이다
고령화 사회가 어때서?
노인 ! 그들은 누구 인가
이제 걸음마 하는 사회복지
가장 아까운 나이 젊은 노인들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노인의 권리 " 노권 " (UN 비엔나 계획)
  한국도 이제 노령화 사회로 접어 들고있다

노령화 사회와 우리들의 의식
노인 스스로가 투쟁해서 권익 찾아야
노인을 위한 첨단 기술과 장비개발 붐일고있다
미국 은퇴자 협회(AARP)
한국 노령화 OECD국 중 가장 빠르다
값없는 장수 가치있는 장수  


노인과 건강
건강만으로도 행복 할 수 있다
현대인의 만병통치약 "운동"
적게 먹어야 오래 산다
100세 장수를 보장하는 건강 10 계명
건강한 노후를 위해 유념 해야 할 것들
 자기 건강을 스스로 관리 하면 10년을 더 살 수있다
보기만 해도 건강을 주는 자연의 힘
죽는 값이 너무 빗싸다
자기의 건강 상태를 일상의 화제에 올리지 말라
노인 냄새는 건강의 적신호일 수 있다.
노인은 목욕탕을 조심 하라
미 국립 노화 연구소가 권장하는 건강 10계명
규칙적 생활이 노인병을 예방 한다

죽음학(Thanatology)
이승의 끝자락을 잡고
죽는값이 너무 빗싸다
가진것이 없어도 남길것은 있다
나 없는 세상에 대한 슬픔
삶을 정리 하는 법
 내 죽엄을 준비 하며

품위있는 죽음을 위하여
황혼에서 새벽까지
어느 누구도 산채로 이세상을 떠날 수는 없다
 죽는자를 진정으로 괴롭히는것은 무었인가

죽음을 받아 들이는 5단계
죽음과 고통
남아 있는 가족들이 알아야 할 일들
삶의 질과 죽음의 질
존엄한 죽음- 죽음을 어떻게 맞이 할것인가
몸과 마음이 건강할 때 신변일 들을 정리 해두어야 한다
혼자서 즐기는 시간도 가져라
인간은 평준화 되어 간다
삶의 마지막 때를 위한 준비
나는 이렇게 죽고 싶다
죽음에 대한 소망
자기 최후의 모습을 보여줄 준비를 하라
죽음에 관한 연구들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을 받아 들이는 5단계
세계 각국이 안락사 허용 요구 거세지고 있다
임종을 스스로 선택한 노부부
품위있는 죽음을 위한 선언서
Kevorkian 의 두 얼굴
편안한 안식을 위하여
호스피스- 아름다운 삶과 같이 아름다운 죽음도 가치 있다
저승 이야기
저승을 다여온 사람들
임사체험- 어느 누구도 산채로 이세상을 떠날 수는 없다
죽음을 직접 체험 해보는 - 임사 체험관
남겨진 사람들이 해야 할 일
 몸과 마음이 건강 할때 자기 신변을 정리 해두라

풍경, 사랑, 시, 건강


.
출처 : kyu0704kr님의 블로그

***풍경사진&좋은글***

옛 불국사 사진
숨겨진 비경들
배낭여행
천경자화백 미공개 작품 서울전
빈센트 반 고흐
그리스의 마태오라
겨울산
한국의 연
어느 노부부의 얘기
자연(미국)
영국인 화가가 그린 1920년대 조선의 모습
바닷가 풍경
세계3대폭포사진
아름다운 풍경
크다 커
예술 사진
그랜드 캐년
알라스카
티벧
베네치아
짤츠브르크
아름다운 풍경
중국의 도자기
일본 제 1 의 공원 "足立 美術館 庭園 "
가우디 A. Gaudi의 성가정 대성당   

***영화스토리***

러브 액츄얼리
레드 바이올린 ( The Red Violin)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젊은이의 양지
왕과나 (The King and I)
나이아가라 (Niagara)
십계 (Ten Commandments)
벤허 (Ben-Hur1959)
레 미제라블 (Les Miserables)
慕情 (Love Is a Many-Splendored Thing )
지상에서 영원으로(from here to eternity)
왕자와 무희 (The Prince and the Showgirl)  조회(40) / 추천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
아프리카의여왕 (The African Queen)
노인과 바다 (The Old Man and the Sea)
콰이강의다리 (The Bridge On The River Kwai)
전쟁과 평화 (War And Peace)
바이킹 (The Vikings)
킬리만자로의 눈 (The Snows Of Kilimanjaro)
사브리나 (Sabrina)
젊은 사자들(The Young Lions)
이유없는 반항 (Rebel Without A Cause)
노틀담의 곱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
베라 크루즈 (Vera Cruz)
아가씨와 건달들 (Guys And Dolls)
쿼 바디스 (Quo Vadis)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Cat On A Hot Tin Roof)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Gentlemen Prefer Blondes)
상류사회 (High Society)
백경 (Moby Dick)
OK 목장의 결투(Gunfight At The O.K.corral)
아마데우스 (Amadeus )
붉은 수수밭(紅高梁)
레인 맨 (Rain Man)
죽은시인의사회(Dead Poets Society)
대부 (The GodFather)
러브 스토리 ( Love Story )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나바론 요새 (The Guns Of Navarone)
아라비아의로렌스 (Lawrence of Aarabia)
007 위기일발 (From Russia With Love)
마이 페어 레이디 (My Fair Lady)
쉘부르의 우산 (Les Parapluies De Cherbourg)
클레오파트라(Cleopatra)
앵무새 죽이기 ( To Kill A Mockingbird)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명성황후(뮤지컬)
천국의 아이들 (The Children of Heaven )
글루미 썬데이 (gloomy sunday)
피아니스트 (The Pianist )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Sleepless in Seattle)
보디가드 (The Bodyguard)
쇼생크 탈출 (The Shawshank Redemption)
메디슨카운티의 다리 ( Bridges of Madison County)
가을의 전설 (Legends of the Fall)
양들의 침묵 (The Silence of the Lambs)
잉글리쉬 페이션트(The English Patient)
셀 위 댄스(Shall We Dance)
여인의 향기(Scent Of A Woman)
순수한 열정의 시절로 돌아가라
사랑보다 사랑의 기억 때문에 아프다
쉿! 입도 뻥긋 하지마!
내가 본 영화 중 가장 멋진 오프닝
백조의 호수 (Swan Lake)
카르멘 (CARMEN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
태양은 가득히 (Plein Soleil)
늑대와 춤을(Dances With Wolves)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베르디
뉴욕의가을 (Autumn In New York)
폭풍의언덕 (Wuthering Heights)
금지된장난 (Jeux Interdits )
귀여운 여인 (Pretty Woman)
양철북 (Die Blechtrommel )
25시 (The 25Th Hour)
누드 모델(La Belle Noiseuse)
황야의무법자 (A Fistful of Dollars)
흐르는 강물처럼 (A River Runs Through It)
타이타닉 (Titanic)
사운드 오브 뮤직 ( The Soune of Music)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y it forward!]
쉰들러 리스트[Shindler's List]

***詩가 있는 곳***

연꽃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서 정 주
사람만이 희망이다./ 시인 박노해
다시, 사람만이 희망입니다./ 박노해 시인  

9 가지의 기도/ 시인 도 종환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 알프레드 디 수자
초 대 / 오리아 마운틴 드리머
진정한 여행/ 나짐 히크메트
류시화 시 모음
천상병 시인의 시
나혜석 , 이 상  
오감도/ 李 箱
李箱의 문학 세계
너에게 묻는다./ 안도현 시인
함께 있으면 좋은 사람/ 용혜원 시인  
담쟁이/ 도 종 환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헤어져라!
마음의 지진 / 천양희
깃발/ 유치환
너 / 피천득 시인
작은 들꽃 / 조 병화
길 잃은 날의 지혜/ 시인 박 노해
흔들리며 피는 꽃
겨울 밤에 시 쓰기  
정지용님의 시 [유리창1] 분석및 감상
떠도는 자의 노래- 신경림 시인

***건강생활***

산성수에 대하여
기분좋게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방법
노화를 막는 식습관
젊게 사는 비법 78가지/ 뉴욕 주립대
우리 몸의 비밀

***People***
김지미
나탈리 우드 (Natalie Wood)
록 허드슨 (Rock Hudson)
그레타 가르보 (Greta Garbo)
말론 브란도 (Marlon Brando)
에바 가드너 (Ava Gardner)
김진규 (金振奎)
몽고메리 클리프트 (Montgomery Clift)
김승호 (金勝鎬)
험프리 보가트 (humphrey bogart)
게리 쿠퍼(Cooper Gary)
마릴린 몬로(Marilyn Monroe)
비비안 리 (Vivien Leigh)
그레이스 켈리 [Grace Kelly)
클라크 케이블 / Clark Gable
제임스 딘(James Dean)
나운규 (羅雲奎)
폴 뉴먼
프랑크 시나트라( Frank Sinatra)
오손 웰스 (Orson Welles )
수잔 헤이워드 (Susan Hayward)
로렌스 올리비에(Laurence Olivier)
존 웨인 (John Wayne)
엘리자베스 테일러 ( Elizabeth Taylor)
잉그리드 버그만 (Ingrid Bergman)
율 브린너 (Yul Brynner)
오드리 헵번 (Audrey Hepb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