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적분 모르는 理工大生’ 책임 안 지는 정부
한국 대학의 이공계(理工系) 입학생들은 수학 과학의 기초인 미적분도 모른다고 미국의 과학 전문주간지 사이언스가 최신호(6일자)에서 보도했다. 이 잡지는 “고교 2, 3학년생 3분의 2가 과학을 배우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며, 이런 ‘과학 문맹(文盲)’이 핵폐기물 처리, 고속철도 건설 등 중요한 과학 담론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어제 오늘 나온 얘기는 아니지만 유명 외국 잡지에까지 그 치부가 소개돼 부끄럽다.
정부의 책임이 크다. ‘학습자 중심교육’이니, ‘뭐든 하나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다’느니 하는 평등주의 포퓰리즘으로 1997년 교육과정 개편 때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늘린 결과다. 이로 인해 이과 학생들은 미적분같이 어려운 과목은 기피하기 일쑤다. 반면, 수학Ⅱ를 배우지 않는 문과 학생들은 쉽게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다. 해마다 이공계 신입생들은 우열반 편성, 보충수업 형태로 재(再)교육을 받아야 하니 심화된 전공 공부가 그만큼 뒤처진다.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쉽게 출제하도록 해 온 것도 원인이다. 사이언스지는 한국 수능의 어려운 정도가 1980년대 시험의 절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쉬운 수능으로 ‘틀리지 않는 기술’만 배우고, 그나마 등급제로 자기 점수도 모르는 상황에선 학생들이 점수 따기 어려운 수학과 과학을 기피하는 게 이상할 것도 없다.
인도에선 20만 명의 고교생이 어렵기로 정평이 난 수학 물리 화학시험을 치르고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다. 평균 경쟁률이 100 대 1인 인도공과대학(IIT)은 합격자 명단이 신문에 실릴 정도다. 미국 영국도 수학 과학교육에 국운을 걸고 있다. 이공계가 국가경쟁력의 ‘줄기(stem)’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의 머리글자와 일치한다.
하향 평준화를 고집하는 우리 교육으로는 국가 경쟁력도, 나라의 미래도 기약할 수 없다. 그러나 정부는 엉뚱한 간섭만 할 뿐, 책임을 모른다.
ⓒ동아일보&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